어린이집 보육교사 급여 및 처우개선 지원금 2025

어린이집 보육교사 급여 및 처우개선 지원금은 보육 현장에 종사하는 교사들의 안정적인 근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제도입니다. 최근 저출산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정부는 보육교사의 처우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예산을 확대하고 있습니다.

어린이집 보육교사 급여 및 처우

2025년 기준 신입 보육교사의 월 기본급은 약 223만 원으로, 전년 대비 3% 인상되었습니다. 보육교사는 우리 아이들의 건강한 성장을 책임지는 핵심 인력임에도 불구하고, 과중한 업무와 상대적으로 낮은 처우로 인해 이직률이 높은 편입니다.

정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본급 외에도 처우개선비, 근무환경개선비, 누리과정 교사수당 등 다양한 지원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 특히 2025년부터는 유보통합 정책에 따라 보육교사의 처우가 단계적으로 개선될 예정입니다.

보육교사 급여 체계

어린이집 보육교사 급여 및 처우개선 지원금 체계는 크게 기본급과 각종 수당으로 구성됩니다. 기본급은 보건복지부에서 고시하는 호봉표를 기준으로 지급되며, 1호봉부터 30호봉까지 세분화되어 있습니다.

2025년 1호봉 보육교사의 연봉은 약 2,685만 원, 월급은 약 223만 원입니다. 호봉은 경력 연수에 따라 자동으로 상승하며, 10호봉 기준 월급은 약 253만 원, 20호봉은 약 313만 원 수준입니다.

기본급 외에도 정부와 지자체에서 지원하는 처우개선비, 근무환경개선비, 장기근속수당 등이 있으며 수당은 어린이집 유형과 담당 학급에 따라 차등 적용됩니다. 처우개선비는 국공립 어린이집의 경우 월 14만 5천 원, 민간 어린이집은 월 20만 원이 지급됩니다.

보육교사 급여 호봉별 비교

호봉경력월급여연급여
1호봉신입2,237,800원26,853,600원
5호봉4년차2,306,200원27,674,400원
10호봉9년차2,539,100원30,469,200원
15호봉14년차2,827,600원33,931,200원
20호봉19년차3,135,400원37,624,800원
30호봉29년차3,711,600원44,539,200원

처우개선 지원금 분석

어린이집 보육교사 급여 및 처우개선 지원금은 기본급 외에 다양한 형태로 지급됩니다. 가장 대표적인 것이 처우개선비로, 국공립 어린이집 교사는 월 14만 5천 원, 민간·가정 어린이집 교사는 월 20만 원을 받습니다.

근무환경개선비는 영아반 담임교사에게 월 26만 원이 지급되며, 연장보육 전담교사는 월 13만 원을 받습니다. 누리과정을 담당하는 유아반 교사에게는 누리과정 교사수당이 월 36만 원 지급됩니다.

 

장기근속수당은 동일 어린이집에서 3년 이상 근무한 교사에게 연간 20만 원에서 40만 원이 지급되며, 근무 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합니다. 자기계발비는 월 5만 원 수준으로 지자체에서 직접 개인 계좌로 입금됩니다.

교사겸직원장지원비는 원장이 반 담임교사 업무를 겸직할 경우 월 7만 5천 원이 추가 지원됩니다. 농어촌 지역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에게는 농어촌수당이 별도로 지급되며, 보수교육비와 건강검진비는 연 1회 각각 10만 원씩 지원됩니다.

지자체별 추가 지원 현황

지원금 항목지급 대상지급액지급 기준
처우개선비민간어린이집200,000원월 15일 이상 근무
근무환경개선비영아반 교사260,000원일 8시간 근무
누리과정수당유아반 교사360,000원누리과정 담당
장기근속수당3년 이상 근속200,000~400,000원연 1회 지급
자기계발비전체 교사50,000원월 지급

마무리
어린이집 보육교사 급여 및 처우개선 지원금은 2025년 기준 호봉제 기본급과 다양한 수당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신입 교사의 월급은 약 223만 원이며, 각종 수당을 포함하면 실수령액은 250만 원에서 280만 원 수준입니다.

정부는 유보통합 정책에 따라 보육교사의 처우를 단계적으로 개선할 계획이며, 2026년부터는 추가적인 급여 인상이 예정되어 있습니다. 이러한 수당을 모두 합산하면 신입 보육교사의 실수령액은 월 250만 원에서 280만 원 수준입니다.

보육 현장의 재정 관리와 관련해서는 기존에 다룬 예금금리 비교를 참고하면 목돈 관리에 도움이 됩니다. 보다 자세한 정부 지원 정책은 보건복지부 복지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